MBR 7

[악성코드 분석] MBR 변조로 정상부팅을 막는 satana 랜섬웨어 주의

MBR 변조로 정상부팅을 막는 satana 랜섬웨어 분석 보고서 1. 개요satana 랜섬웨어는 컴퓨터 부팅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하드디스크의 MBR(Master Boot Record)영역을 변조하여 부팅이 불가능하게 만들며 사용자 파일을 암호화한다. 감염된 컴퓨터가 부팅될 때 *랜섬노트 출력으로 인해 커스텀 부트로더(Bootloader, 윈도우 부팅을 위해 실행되는 명령어)가 정상 작동하지 않으며, 내부 변수 값들이 디버그 메시지로 상세하게 출력되는 등 개발 단계 소프트웨어의 특징이 나타난다. 해당 랜섬웨어의 랜섬노트를 보면 아래 창과 같이 0.5비트코인(2016.07.07일 기준 약 400,000 KRW)지불을 조건으로 복호화 소프트웨어를 전송해 주겠다는 메시지를 담고있다. *랜섬노트(Ransom..

[악성코드 분석] MBR 변조에 파일 암호화까지, PETYA-MISCHA 변종 랜섬웨어 주의

MBR 변조에 파일 암호화까지, PETYA-MISCHA 변종 랜섬웨어 분석 보고서 1. 개요지난 4월 시큐리티 대응센터에선 일반 랜섬웨어 다르게 컴퓨터 하드디스크의 MBR 코드를 변조시켜 정상부팅을 막는 PETYA 랜섬웨어를 분석한 바 있다. 독일어로 이력서란 파일명으로 위장하여 사용자의 PC를 감염을 유도한 PETYA 랜섬웨어, 이 랜섬웨어가 파일 암호화 동작까지 추가된 PETYA-MISCHA 변종으로 나타나 사용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참고 : PEYTA 랜섬웨어 보고서 2. 분석 정보2-1. 파일 정보구분내용파일명PDFBewerbungsmappe.exe파일크기899,584 Byte진단명Trojan/W32.Mikhail.899584악성동작혼합 랜섬웨어 2-2. 유포 경로PETYA 랜섬웨어가 독일어로 된..

[악성코드 분석] MBR 변조로 부팅을 방해하는 PETYA 랜섬웨어

MBR 변조로 정상 부팅을 방해하는 PETYA 랜섬웨어 분석 보고서 1. 개요일반적인 랜섬웨어는 표적이 되는 특정 파일을 암호화 하여 해당 파일을 복구하는 대가로 금전을 요구한다. 이때, 사용자의 PC는 암호화된 파일을 여는 것 외에는 정상작동을 할 수 있었다. 최근엔 이런 일반적인 랜섬웨어의 동작에 고정관념을 깨고 컴퓨터 하드디스크의 MBR 코드를 변조시켜 정상부팅을 막는 랜섬웨어가 등장하였다. 또한 이 랜섬웨어는 파일공유 서비스를 이용해 유포되고 있으며 파일명이 독일어이지만 이력서 파일로 위장하고 있어 사용자에게 큰 피해가 우려된다. 본 보고서에선 파일 암호화가 아닌 MBR 코드를 변조하는 PETYA 랜섬웨어를 집중 분석하고 예방 및 해결책을 명시하여 사용자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한다. 2. 분석 정보..

PC 부팅을 막는 MBR 악성코드

PC 부팅을 막는 MBR 악성코드 1. 개요 하드디스크의 MBR(Master Boot Record ; 마스터부트레코드) 영역을 파괴하여 PC 부팅을 못 하게 만드는 MBR 악성코드가 성행하기 시작했다. MBR 영역을 파괴하는 악성코드는 이전 한수원 해킹 사건, 3.20 사이버 테러, 6.25 사이버테러 등에서 국내 주요기관을 마비시킨 이력이 있다. MBR이란 파티션 된 저장장치(하드 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USB메모리 등)의 가장 앞 부분에 쓰여있는, 저장장치 이용 시 반드시 필요한 정보이다. MBR에는 PC 부팅에 반드시 필요한 여러 정보(파티션정보, 부트로더 정보 등)이 손상되면 저장장치를 읽을 수 없게 되어 대표적으로 PC 부팅 실패 등 여러 이상이 발생한다. 이에 잉카인터넷 시큐리티 대응센터(..

[긴급대응]언론사 방송국, 금융사이트 부팅 불가 사고 발생 [#Update 2013. 03. 27. 01]

■ 긴급 대응 중 2013년 03월 20일 14시 경부터 금융권, 방송사 등 컴퓨터가 동시다발적으로 부팅되지 않는 피해가 발생하였다.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의심파일을 다수 수집하여 다양한 분석업무와 전사긴급 대응체제를 가동 중에 있으며, 이글은 2013년 03월 20일부터 계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다. [분석보고서 Ver 3.0] 수집된 파일들 중 파일명이 확인된 것들은 다음과 같다. - ApcRunCmd.exe - AgentBase.exe - OthDown.exe - mb_join.gif (exe) - container.exe - orpsntls.exe - v3servc.exe - shellservice.exe - themeservics.exe - logoninit.exe - msnlsl.exe - Up..

[참고]BIOS, MBR 변조 시도 악성파일 출현

1. 개 요 최근 BIOS와 MBR 변조를 시도하는 악성파일이 등장하여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BIOS, MBR이 변조될 경우 지속적인 재감염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나, 해당 악성파일은 현재까지 특별한 감염 증상이 없고 몇가지 정황으로 미루어 보아 테스트 용도로 제작되었음이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BIOS와 MBR이 변조되면 백신을 통한 정상적인 치료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때문에 이번 글을 통해 BIOS와 MBR이 변조될 경우 수행할 수 있는 간단한 수동조치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피해를 미연에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자.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 - 컴퓨터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을 처리해 주는 프로그램들의 집합을 의미하며, 운영체제의 가장 하위에 속해 있다..

[주의]치료가 까다로운 MBR(Master Boot Record) 변조 악성파일

1. 개 요 최근 온라인 게임 계정정보 탈취를 목적으로 하는 악성파일이 웹 하드 사이트 등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유포가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MBR(Master Boot Record)을 변조하여 지속적인 감염을 유발하는 변종이 출현해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해당 악성파일은 감염 후 백신 등을 통해 치료를 진행하여도 재부팅되면 지속적으로 재감염되는 감염증상을 가지고 있어 안전한 PC사용을 위해서는 백신의 실시간 감시 기능 등으로 사전 예방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유포 경로 및 감염 증상 해당 악성파일은 기존의 "특정 온라인 게임 계정정보 탈취"용 악성파일과 같이 각종 웹 하드 사이트 등을 통해 유포될 수 있으며, 이메일의 첨부파일 형태나 SNS 및 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