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정보/리눅스 분석 정보 10

Bifrost RAT 악성코드 변종 발견

최근 한 캠페인에서 "Bifrost" RAT 악성코드와 타이포스쿼팅 방식이 적용된 C&C 서버 도메인을 사용하는 정황이 공개됐다. 타이포스쿼팅은 특정 사이트의 도메인 이름을 모방해 철자를 다르게 등록하는 방식으로, 이번 캠페인에서는 VMware 사이트를 사칭한 download.vmfare.com을 공격자의 C&C 서버 도메인에 활용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배포된 "Bifrost"는 감염된 환경에서 호스트 이름, IP 주소 등의 정보를 수집해 공격자에게 보내고, 공격자의 C&C 서버에서 받은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A. 타이포스쿼팅 이번 캠페인에서는 공격자의 C&C 서버의 도메인으로 VMware 사이트와 유사한 download.vmfare.com을 사용해 사용자의 유입을 유도했다. 또한, 대만 공용 D..

Qilin 랜섬웨어 리눅스 버전

최근 리눅스 버전의 “Qilin” 랜섬웨어가 발견됐다. 해당 랜섬웨어는 2022년 8월 경, "Agenda"라는 이름으로 등장했으며, 한 달 후 "Qilin"으로 이름이 변경돼 현재까지 활동 중이다. 이번 변종은 주로 VMWare ESXi 서버를 공격하며 가상화 및 에뮬레이터와 관련된 프로세스의 실행을 종료한다. 또한, ESXi 서버 내에서 실행 중인 가상 환경의 스냅샷을 삭제하고 종료하는 기능도 포함됐다. 여기에 ESXi 서버의 메모리 힙 고갈 버그에 대한 임시 조치 방안과 버퍼 캐시 설정을 변경하는 명령도 추가됐다. “Qilin” 랜섬웨어를 실행하면 지정된 경로의 파일을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파일은 파일 이름에 “.o7LO3e8F9J” 확장자를 추가한다. 해당 랜섬웨어를 실행할 때 -p 옵션을 사용하면..

BPFDoor 변종 발견 및 유형별 BPF 필터 코드 차이점 비교

1. 개요 올해 5월, “BPFDoor” 악성코드의 새로운 버전이 발견됐다. “BPFDoor” 악성코드는 커널 필터링 기능인 BPF(Berkley Packet Filter)를 사용해 들어오는 트래픽을 방화벽이 탐지하기 전에 필터링한다. 필터링을 통과한 후에는 감염된 PC에서 공격자가 보낸 데이터나 명령에 따른 행위를 수행한다. “BPFDoor” 변종의 주요 특징은 공격자의 C&C 서버와 통신하는 방식을 변경했다는 점이다. 이전 버전은 바인드 셸 방식과 iptables의 규칙을 변경해 네트워크를 연결했었다. 그러나 변종 악성코드에서는 리버스 셸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연결한 후 공격자가 전송한 명령을 실행한다. 추가로 프로그램 내부에서 매직 패킷(Magic Packet)을 확인해 필터를 통과한 경우에만 네트워..

SSH 서버를 대상으로 공격하는 RapperBot 악성코드

IoT 장치를 대상으로 공격하는 새로운 "RapperBot" 봇넷 악성코드가 발견됐다. 해당 악성코드는 과거 소스코드가 공개된 “Mirai”를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Mirai”에서 주로 사용하는 텔넷 자체 전파 방식이 아닌 SSH를 활용한 전파 방식을사용한다. 이 과정에서 SSH 서버를 스캔하고 자격 증명을 무작위로 입력해 접근 권한을 획득한 후, “RapperBot”을 감염한다. 이후 감염된 장치에서 실행된 악성코드는 공격자의 C&C 서버에서 받은 명령에 따라 DDoS 공격을 수행한다. 자가 삭제 먼저, “RapperBot”을 실행하면 unlink 함수를 사용해 실행한 파일을 자가 삭제한다. 와치독 타이머 초기화 - 재부팅 방지 그 다음, IoT 장비에서 의도하지 않은 무한 루프 등의 오작동을 탐지..

소스코드가 공개된 EnemyBot 악성코드

과거 “Mirai”, “Qbot” 과 같은 봇넷 악성코드의 소스코드가 공개된 바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해당 악성코드들의 소스코드를 사용한 변종 악성코드들이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도 “EnemyBot” 라는 악성코드가 발견 되었는데, 살펴 본 결과 해당 악성코드 또한 기존 소스코드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그래서 “EnemyBot” 을 비롯한 변종 악성코드들은 “Mirai”, “Qbot” 악성코드와 많은 공통점을 가지며, 실행 시 취약한 기기를 감염시켜 DDoS 공격을 수행한다. 공개된 소스코드 “EnemyBot” 악성코드는 소스코드와 함께 발견 되었는데, 게시자는 스스로를 “Kek Security” 소속의 악성코드 개발자라고 밝히고 있다. “Kek Security” 는 ..

BlackBasta 랜섬웨어 리눅스 버전

Vmware ESXi 서버를 대상으로 파일을 암호화하는 “BlackBasta” 랜섬웨어가 발견됐다. 올해 초에 처음 등장한“BlackBasta” 랜섬웨어는 RaaS(Ransomware-as-a-Service)로 운영되고 있으며, 미국, 유럽 및 아시아 등의 기업을 대상으로 한 공격에 주로 사용됐다고 알려졌다. 또한, 최근에는 리눅스 버전을 제작해 공격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해당 랜섬웨어의 리눅스 버전은 Vmware ESXi 서버에서 가상 머신 등의 저장 목적으로 사용하는 VMFS 데이터 저장소 경로인 ‘/vmfs/volumes’ 경로를 대상으로 암호화하며, “–forced” 인자를 사용해 암호화 경로를 지정할 수 있다. “BlackBasta” 랜섬웨어를 실행하면 ‘/vmfs/volumes’ 경로를 대상..

리눅스 장비를 노리는 XorDDoS 악성코드

“XorDDoS” 악성코드는 2014년 처음 발견된 이후 최근까지 지속적으로 유포되고 있다. 공격자로부터 전달되는 명령, C&C 서버 주소 등 악성 행위에 필요한 데이터를 XOR 연산으로 디코딩하여 사용하는 특징을 가져 “XorDDoS” 라는 이름으로 명명 되었으며, IoT 장비 혹은 리눅스 서버를 감염하기 위해 ARM, x86 및 x64와 같은 다양한 Linux 아키텍처 버전으로 제작되었다. 공격자는 주로 SSH Brute Force 공격을 통해 공격 대상의 자격 증명을 획득하고 “XorDDoS” 악성코드를 설치한다. 이렇게 실행된 “XorDDoS” 는 자가복제 후 재실행, 프로세스명 변경 및 루트킷 등을 통해 탐지를 회피하려 하며 공격자의 명령을 전달받아 DDoS 공격을 수행한다. 자가복제 및 재실행..

리눅스 환경에서 패킷 필터를 악용하는 BPFDoor 악성코드 발견

지난 5월 경, 리눅스 환경에서 사용하는 패킷 필터를 악용하는 “BPFDoor” 악성코드가 발견됐다. 해당 악성코드는 BPF(Berkely Packet Filter)를 사용해 공격자의 C&C 서버에서 받은 패킷을 필터링한 후, 악성 행위를 수행한다. 또한, 정상적으로 연결되면 공격자가 대상 서버에서 임의의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자가 복제 및 실행 “BPFDoor” 악성코드를 실행하면 ‘/dev/shm/kdmtmpflush’로 자가 복제한 후, 복사한 파일의 권한을 755로 변경한다. 이 경우 자가 복제한 파일의 소유자는 모든 권한을 부여하고, 그 외 사용자는 읽기와 실행만 가능하도록 설정한다. 또한, 파일의 시간(타임스탬프 값)을 2008년에 생성된 파일로 보이도록 수정한다. 그후, --init 인자..

리눅스 환경으로 확대된 RansomEXX 랜섬웨어

지난 3월 초 "RasnomEXX" 랜섬웨어가 인도네시아 국영석유회사를 공격하여 데이터를 탈취한 정황이 확인됐다. 해당 랜섬웨어는 2020년 5월 미국 텍사스의 교통국(TxDOT)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 공격을 시작으로 다수의 기업 및 공공기관에 피해를 줬다. 특히 2020년 11월에는 리눅스 환경에서 동작하는 변종 랜섬웨어의 등장으로 브라질 고등 법원이 피해를 보았다. 해당 공격에 사용된 변종은 “RansomEXX” 랜섬웨어의 윈도우 버전과 동일한 모듈을 사용하여 파일을 암호화한다는 특징이 있다. RansomEXX 랜섬웨어 피해 사례 2020년 5월 처음 발견된 “RansomEXX” 랜섬웨어의 피해 사례를 조사한 결과, 기업 또는 공공기관을 위주로 공격한 것이 확인됐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 텍사스의 교..

과거 리눅스 커널 취약점 활용한 악성파일 유포 주의

1. 개요 최근 리눅스 커널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관리자 권한을 탈취하는 Dirty Cow 취약점(CVE-2016-5195)을 사용한 악성 파일이 유포되고 있다. 해당 샘플에 감염될 시 가상화폐 채굴기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감염 PC 의 통신 기록을 참고하여 감염 대상을 늘리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Dirty Cow 취약점을 이용하는 백도어 프로그램의 악성 동작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 2-2. 유포 경로 해당 프로그램은 SSH 통신을 이용한 감염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SSH 통신을 통해 유포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2-3. 실행 과정 악성 셸 스크립트를 실행하면 가장 먼저 감염 PC 의 시스템 정보를 읽어 감염 동작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