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큐리티대응센터2093 노벨평화상 웹 사이트 해킹과 파이어 폭스 제로 데이 취약점의 등장 지난 2010년 10월 26일경 노벨평화상 웹 사이트가 해킹된 사고가 일어났다. 원인은 바로 웹 브라우저인 파이어 폭스(Firefox)에 존재하는 제로 데이(Zero-Day) 취약점이었다. ※ 제로 데이(Zero-Day)란 쉽게말해 특정 취약점에 대한 보안패치가 나오지 않은 시점에서 발생하는 공격기법을 말한다. [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10/27/2010102700146.html - 조선일보 ] 이번 취약점에 노출된 버전은 Mozilla Firefox 3.5/3.6 버전이었으며, 해킹된 사이트에 접속 시 해당 취약점을 이용한 악성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이용하여 트로이 목마를 다운로드(scvhost.txt) 하는 형태로 감염이 이루어진다.. 2010. 10. 28. ARP Spoofing 악성 파일 유포자 다운로드 기능 재추가 2010년 중/하반기 경부터 국내에 집중하여 등장한 ARP Spoofing 악성 파일은 최근까지 그 변종이 지속적으로 유포되고 있다. 2010년 10월 15일경 ARP Spoofing 악성 파일 다운로드 기능이 제외된 변종이 발견되었으나, 2010년 10월 23일 해당 기능이 다시 추가되어 유포되기 시작했다. ◆ 다시 돌아온 ARP Spoofing!! 금전적 이득을 노린 특정 계정정보 등에 대한 탈취기능을 가지는 악성 파일 유포가 최종 목적인것은 동일하나, 보안에 취약한 웹 사이트에 접속 후 일부 MS 취약점을 악용하여 ARP Spoofing 변종 악성 파일에 대한 다운로드 기능을 다시 추가한것이 이번에 발견된 변종의 특징이다. ※ 2010년 10월 23일 발견된 ARP Spoofing 유포기능이 추가된.. 2010. 10. 25. Virus/W32.Parite.(변형도) 바이러스 감염율 증가 일명 "파리떼(?)"라는 별칭으로도 국내에 조금씩 알려져 있는 Parite(패리티) 라는 정식 이름의 바이러스는 2001년 10월 경부터 보고되기 시작했으며,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는 실행 파일 감염형 바이러스이다. 약 9년 전에 발견된 구형 바이러스라는 점에서 새로운 위협의 범위에 포함되지는 않지만, 바이러스 생존율 기간이 길게 유지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해야 한다. 또한, 얼마전 일부 국산 인터넷 광고성 프로그램에 Parite 바이러스 변종이 감염된 채 모듈이 배포되면서 국내 감염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이 바이러스는 윈도우 실행파일(PE형식)인 .EXE, .SCR 등의 확장자를 찾아 감염시키지만, 윈도우 폴더에 존재하는 Explorer.exe 는 .. 2010. 10. 21. 스마트폰 GPS 기능은 양날의 칼과 같다 최근 스마트폰 열풍에 따라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이 등장하고 있다. 메일발송 및 공과금 납부, 각종 결제 서비스 등 이제 스마트폰은 현대인들에게 있어 필수 아이템이 되는 듯 하다. 다만, 이러한 스마트폰 열풍에 따라 등장하는 어플리케이션 중 일부는 그 효율적인 기능이 악용될 소지가 있기에 어플리케이션 사용에 신중함이 필요하다. ◆ 효율적일 수 있거나...위험할 수 있거나... 얼마전 이슈가 되었던 Android용 SMS 트로이 목마로 분류된 어플리케이션과 GPS Tracking 기능이 있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인 Tap Snake, 또한 악성 파일은 아니지만 스마트 폰 정보, 개인정보 등의 로그를 특정 주소로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 월 페이퍼 어플리케이션 등 용도나 목적에 따라 얼마든지 악.. 2010. 10. 21. 기존 ARP Spoofing 악성 파일 유포자 기능 제외된 변종으로 배포 시작 2010년 중/하반기 경부터 국내에 집중하여 등장한 ARP Spoofing 악성 파일은 최근까지 그 변종이 지속적으로 유포되고 있다. 그런데 금일 오전 경에 수집된 새로운 변종 샘플에서 ARP Spoofing 악성 파일 다운로드 기능만이 제외된 또다른 변종이 발견되었다. 최근 ARP Spoofing 변종 악성 파일은 금전적 이득을 노린 특정 계정정보 등에 대한 탈취기능을 가지는 악성 파일 유포를 최종 목적으로하며, 보안에 취약한 웹 사이트에 접속 후 일부 MS 취약점을 악용하여 ARP Spoofing 변종 악성 파일에 대한 다운로드 기능까지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금일 발견된 변종 악성 파일은 금전적 이득을 노리는 점으로 인해 특정 계정정보 등에 대한 탈취기능을 가지는 악성 파일의 유포를 최종 목적으로 .. 2010. 10. 15. 안드로이드용 모바일 악성프로그램 FakePlayer 변종 해외 등장! 2010년 8월 10일경 최초 출현 후 2010년 9월 8일 두번째 변종이 출현된바 있는 안드로이드용 SMS 트로이목마의 3번째 변종이 2010년 10월 13일경 또다시 출현하였다고 러시아 Kaspersky Lab에 의해 보고되었다. [출처] : http://www.securelist.com/en/blog/329/FakePlayer_take_3 이번에 출현한 안드로이드용 SMS 트로이목마 3번째 변종은 지난번 유포되었던 두번째 변종과 마찬가지로 Porn Player로 위장하고 있다. 설치 시 위 그림과 같이 설치동의 및 권한 부여 메시지를 출력하므로, 주의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번에 출현한 안드로이드용 SMS FakePlayer 트로이목마 3번째 변종은 지난번 등장했던 두번째 변종과 배포기법 등이 .. 2010. 10. 14. 이전 1 ··· 345 346 347 348 3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