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큐리티대응센터 1950

Lpk.dll, Usp10.dll 악성파일 주의 및 대처 방안

1. 개요 최근 중국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온라인 게임 계정 탈취 악성파일이 국내에 다량 유포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해당 악성파일은 그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으며, 간단한 툴킷 등으로 제작되어 매일 변종에 대한 제작 및 유포가 이루어지고 있다. 많은 종류의 해당 악성파일 중 최근 웜 형태의 감염 증상을 보이며, PC 사용 및 치료에 어려움을 느끼게 하는 종류에 대해 살펴보고 미리 대처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2. 감염 경로 및 증상 우선 해당 악성파일은 여느 온라인 게임 계정 탈취 악성파일과 마찬가지로 그 발원지가 중국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해당 악성파일의 제작자가 체포되지 않고있어 정확한 출처를 밝혀내기에는 어느정도 한계가 있다. 해당 악성파일은 정상 시스템 파일인 "Lpk..

MS Office DOCX 문서 파일로 전파 되어지는 악성파일 주의

1. 개요 2011년 2월 24일경 해외의 특정 도메인을 통하여 MS 오피스 문서 파일의 포맷중 하나인 DOCX (Microsoft Office Word) 형식으로 유포 되어지는 악성파일이 발견되었다. 해당 문서 내에는 PE 구조의 EXE 파일이 포함 되어져 있으며 이를 실행하게 되면 추가적인 악성파일 감염이 진행될 수 있으므로 발신처가 불분명한 이메일의 첨부 파일이나 특정 웹 사이트를 통하여 다운로드 받아진 문서파일 열람시 주의가 필요 할 것으로 보여진다. 2. 감염 방식 및 감염 증상 특정 도메인을 통하여 다운로드 되어진 DOCX 문서 파일은 다음과 같이 satna.docx 란 파일명으로 되어져 있다. 또한, 악성파일 유포자에 의하여 파일명이 언제든지 재 변경 되거나 새로운 기법을 통하여 유포가 가능..

금융결제와 관련한 피싱사례 발견 주의 필요

1. 개 요 최근 특정 웹 사이트 접근 시 팝업형으로 발생하는 피싱 사례가 일부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주의를 필요로 하고 있다. 피해 사례는 국내 은행 사이트 및 신용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영화 예매 시 발생하였으며, 여러 증상 등으로 미루어보아 외국에서 제작 및 유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인터넷을 이용해 금융거래와 관련된 피싱 피해가 발생하게 되면 사용자들은 금전적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이번 피싱 시도 사례를 계기로 다시 한번 보안 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으면 한다. 2. 감염 경로 및 증상 이번에 발견된 피싱 시도 사례는 현재 몇 가지 정황으로 미루어 보아 해외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메일의 첨부 파일이나 메신저 및 SNS 등의 링크 클릭 유도 등을 통해 유..

MSN 메신저로 전파되는 악성 파일 주의!

1. 개요 2011년 2월 21일경 MSN(Live) 메신저를 통하여 전파 되어지는 악성파일이 국내에서 발견 되었으며 기존의 네이트온 쪽지로 유포 되어지는 악성파일 유포 방식중 하나인 인스턴스 메신저의 특정 URL 주소를 접근할 경우 악성파일에 감염 되게 된다. 2. 감염 방식 현재 까지 확인 되어지는 해당 악성 파일은 MSN 메신저를 통하여 확인 되지 않는 특정 URL 접근시 악성파일을 다운로드 하여 감염이 진행 되게 된다. 위 그림에서 보이는 링크를 클릭 할 경우 아래와 같은 URL 경로를 통하여 그림파일로 위장한 실행 가능한 악성파일(DSC002502011.JPG.scr) 이 다운로드 되어진다. http://www.*****academy.**/image.php?img=DSC002502011.JPG ..

QR(Quick Response)코드의 편리성과 악용 가능성?

1. 개 요 손쉽게 다양한 정보를 함축하여 담을 수 있는 QR(Quick Response)코드가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QR코드가 무엇이며, 어떠한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는지 편리성에 따른 악용의 소지는 없는지 정확하게 알지 못한다. 예전에 게재한 글을 통해 잠시 QR코드의 악용 가능성에 대해 언급한 바 있지만 최근 해외 보안 관련 커뮤니티에 관련 글이 게재된 만큼 다시 한번 해당 내용에 대해 살펴본 후 혹여 있을지 모를 보안 위협에 대비 해야할 필요가 있을것 같다. [ 참고 : QR Code: a channel to spread malware? ] http://community.ca.com/blogs/securityadvisor/archive/2011/02/14/q..

PC방을 중심으로 유포되고 있는 ARP Spoofing 공격 악성파일 주의 필요

1. 개 요 최근 PC방을 중심으로 ARP Spoofing 악성파일의 감염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추가적인 악성파일 감염 및 온라인 게임 계정 탈취 등의 누적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ARP Spoofing 공격과 PC방의 특성상 일단 감염이 이루어지게 되면 네트워크 트래픽 증가 등으로 인해 인터넷 속도가 느려질 수 있으며, 여러 대의 PC로 관련 악성파일이 빠르게 추가 감염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이번 ARP Spoofing 공격 악성파일은 특정 PC방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된 PC에서 주로 많은 감염 사례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관련 업체에서는 이번 ARP Spoofing 감염에 따라 따로이 치료파일도 제공하고 있는 상태이다. [ 참고 : PC방 관리..

사용자 정보를 겨냥한 안드로이드 악성 앱 출현

1. 개 요 2011년 2월 15일 경 정상 앱에 악의적인 코드를 삽입하여 재 패키징 한 후 중국내 블랙마켓 등을 통하여 유포되어 지고 있는 안드로이드용 스마트폰 악성 앱이 발견 되었다. 해당 악성 앱은 블랙마켓 등을 통하여 다운로드 및 설치가 가능한 상태임으로 무분별한 앱 사용 및 설치에 앞서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를 필요로 하고 있다. [ 참고 : 사용자 정보를 겨냥한 안드로이드용 악성파일 Geinimi 주의 ] http://erteam.nprotect.com/98 [ 참고 : 새로운 안드로이드용 모바일 Trojan "ADRD" 출현 보고에 따른 주의 필요 ] http://erteam.nprotect.com/122 2. 감염 경로 및 증상 해당 악성 앱의 이름과 버전, 파일 크기는 다음과 같다. 아래..

새로운 안드로이드용 모바일 Trojan "ADRD" 출현 보고에 따른 주의 필요

1. 개 요 최근 해외 보안 블로그를 통해 새로운 안드로이드용 모바일 트로이목마에 대한 보고가 있었다. 해당 트로이 목마는 정상 어플리케이션에 악의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악성코드를 삽입해 재 패키징하는 등 일전에 게재하였던 "Geinimi"와 유사한 제작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경우 블랙마켓 등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사용자들을 중심으로 쉽게 해당 악성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 및 감염이 이루어질 수 있다. [ 참고 : 사용자 정보를 겨냥한 안드로이드용 악성파일 Geinimi 주의 ] http://erteam.nprotect.com/98 [ 참고 : New Android Trojan "ADRD" Was Found in the Wild by Aegislab ] http://..

퀵타임 플레이어(QuickTime Player)관련 아이콘으로 위장한 Ransomware 발견

1. 개 요 사용자의 파일 등을 볼모로 금전적 이득을 노리는 Ransomware의 변종이 끊임없이 유포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퀵타임 플레이어(QuickTime Player)로 위장한 Ransomware가 출현하여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Ransomware는 현재 국내에서 특별한 피해사례는 보고되고 있지 않지만, 중요 기관 및 기업체 등의 시스템이 감염될 경우 심각한 금전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Ransomware에 대한 보다 높은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참고 : Ransomware 변종의 지속적인 출현과 예방 조치 방법 http://erteam.nprotect.com/112 참고 : Ransomware 변종의 지속적 출현 http://erteam.nprotect.com/110 2. 감..

글로벌 에너지 업체에 대한 Spear-Phishing 사례 보고 : 나이트 드래곤(Night Dragon)

1. 개 요 2011년 2월 9일경 해외 보안 업체로부터 석유, 가스, 석유 화학 등의 글로벌 에너지 업체를 대상으로 한 Spear-Phishing 보안 위협에 대한 보고가 있었다. 이름도 생소한 나이트 드래곤(Night Dragon)으로 명명된 해당 보안 위협은 맥아피(McAfee)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Stuxnet에 이은 산업시설을 대상으로 한 악성파이란 점에서 감염 시 상당한 금전적 피해가 예상된다. [참고 : Global Energy Industry Hit In “Night Dragon” Attacks] http://blogs.mcafee.com/corporate/cto/global-energy-industry-hit-in-night-dragon-attacks [참고 : Night Drag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