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카인터넷 1472

텔레그램 보안 업데이트로 위장한 피싱 사이트

한국인터넷진흥원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텔레그램 메신저에서 보안 업데이트 안내로 위장한 메시지에 피싱 사이트 링크가 포함된 정황에 대해 공지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공격자가 보안 업데이트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달해 피싱 사이트 접속을 유도한다고 전했다. 현재, 해당 사이트는 사용자가 개인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 확인돼 긴급 차단됐다. 또한, 접속에 사용한 PC 및 휴대폰이 악성 앱에 감염되는 등의 2차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한국인터넷진흥원과 과기정통부는 2차 인증을 설정해 개인 보안을 강화하고 출처가 불분명한 사이트 접속을 자제할 것을 권고했다. 사진 출처 : 한국인터넷진흥원 출처 [1] 한국인터넷진흥원 (2023.07.20) – KISA-..

SNS를 위장한 정보탈취 악성 앱

최근, 단말기의 각종 정보를 탈취하고 원격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안드로이드 악성 애플리케이션이 발견되었다. 해당 앱은 Instagram을 위장하여 유포되었으며, 오픈소스인 Firebase Realtime Database를 악용하여 원격지와 통신하며 악성 동작을 수행한다. 해당 앱을 실행하면 좌측 하단의 그림과 같이 정상 Instagram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하도록 한다.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면, 정상 Instagram 로그인 페이지를 띄우면서 사용자를 속인다. 악성동작이 실행되기 위해, 아래의 그림과 같이 접근성 및 알림창 접근, admin의 권한을 요구한다. 이때, Admin 권한을 획득했다가 Disable 요청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용자 단말기 잠금 암호를 1234로 설정하고 Lock 해버린다...

2023년 2분기 국가별 해커그룹 동향 보고서

2분기 국가별 해커 그룹 동향 보고서 러시아 2023년 2분기에는 CozyBear 해커 그룹과 FancyBear 해커 그룹의 공격이 발견되었다. 두 해커 그룹은 러시아 정부기관을 배후로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며, 2000년대 초반부터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이번 2분기에는 CozyBear 해커 그룹과 FancyBear 해커 그룹이 유사하게 피싱 메일을 활용한 APT 공격을 수행하였다. CozyBear CozyBear 해커 그룹은 2008년부터 활동한 것으로 전해지며, 러시아 대외정보국(SVR)을 배후로 두고 있는 해커 그룹이다. 해당 그룹은 CozyBear를 비롯하여, APT29, The Dukes 등의 이름으로도 불린다. 주로 NATO 회원국의 정부 네트워크 및 연구기관, 싱크탱크를 표적으로 공격하였으..

Microsoft 7월 정기 보안 업데이트 권고

개요 Microsoft 사는 제품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하고, 관련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할 것을 권고하였다. 이와 관련된 일부 긴급(Critical)과 중요(Important) 취약점에 대해서 기술한다. 기술 해결방안 제조사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취약점이 해결된 아래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적용한다. - KB5028166, KB5002427, KB5028167, KB5028168, KB5028169, KB5028171, KB5028182, KB5028185, KB5028186, KB5028222, KB5028223, KB5028224, KB5028226, KB5028228, KB5028240, KB5002432, KB5028232, KB5028233 참고자료 ..

취약점 정보 2023.07.17

정보를 탈취하는 Meduza 스틸러 발견

보안 업체 Uptycs는 텔레그램과 다크웹 포럼에서 판매 중인 정보 탈취 악성코드 "Meduza"를 발견했다. “Meduza”는 사용자 PC에서 시스템, 브라우저 및 암호화폐 지갑 등의 정보를 수집해 공격자의 서버로 전송한다. 해당 악성코드는 사전에 러시아를 포함한 10개의 국가를 공격 대상 제외 목록으로 만들어 실행을 제한한다. 또한, 공격 과정에서 공격자의 서버와 통신이 안되면 즉시 실행을 종료해 행위 추적이 어렵게 만든다. Uptycs 측은 기능이 계속 추가되는 구독형 서비스임을 강조하며, 운영체제 및 브라우저 등을 정기적으로 보안 업데이트할 것을 권고했다. 사진 출처 : Uptycs 출처 [1] Uptycs (2023.06.30) – Meduza Stealer: What Is It & How Do..

파일 관리 앱으로 위장한 스파이웨어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파일 관리 앱으로 위장해 사용자의 정보를 탈취하는 앱이 발견됐다. 보안 업체 Pradeo는 “File Recovery & Data Recovery”와 “File Manager”로 등록된 2종의 스파이웨어 앱을 총합 150만 명 이상이 사용했다고 전했다. 또한, 해당 앱을 설치하면 사용자가 앱을 삭제하지 못하도록 아이콘을 숨기고, 연락처 목록과 위치 등의 개인정보를 수집해 공격자의 C&C 서버로 전송한다고 덧붙였다. Pradeo 측은 수집한 데이터가 주로 중국으로 유출된다고 언급하며 앱 사용에 필요한 권한은 주의 깊게 읽은 후 수락할 것을 권고했다. 직접 확인해 본 결과 해당 앱 2종은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삭제돼 검색되지 않았다. 사진 출처 : Pradeo 출처 [1] Prede..

2023년 상반기 랜섬웨어 동향 보고서

1. 랜섬웨어 통계 2023년 상반기(1월 1일 ~ 6월 30일) 동안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랜섬웨어 신•변종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상반기에 발견된 신•변종 랜섬웨어의 건수는 [그림 1]과 같다. 상반기에는 월 평균 13건의 랜섬웨어가 발견됐으며 이 중, 신종과 변종 랜섬웨어는 각각 2월과 4월에 가장 많이 발견됐다. 2023년 상반기(1월 1일 ~ 6월 30일) 동안 월별로 랜섬웨어가 요구한 랜섬머니를 조사했을 때 주로 비트코인(BTC) 요구가 많았고 모네로(XMR)나 랜섬머니를 요구하지 않는 경우는 매월 낮은 비율을 차지했다. 2023년 상반기(1월 1일 ~ 6월 30일) 동안 랜섬웨어가 요구한 랜섬머니를 조사했을 때 비트코인(BTC) 요구가 25%로 가장 많았고, 랜섬머니를 요구하지 않는 경우와 모네..

2023년 2분기 랜섬웨어 동향 보고서

1. 랜섬웨어 피해 사례 2023년 2분기(4월 1일 ~ 6월 30일) 동안 랜섬웨어 동향을 조사한 결과, 국내/외에서 블랙바스타(BlackBasta)와 블랙캣(BlackCat) 등의 랜섬웨어로 인한 피해가 다수 발견됐다. 4월에는 캐나다 출판 업체가 블랙바스타 랜섬웨어 공격을 받았고, 5월과 6월에는 국내 식품 대기업과 스위스 정보통신 업체가 각각 블랙캣과 플레이(Paly)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피해가 발생했다. 블랙바스타(BlackBasta) 랜섬웨어 피해 사례 2022년 초에 처음 등장한 블랙바스타(BlackBasta) 랜섬웨어는 2분기에 활발한 공격을 보이며 많은 피해 사례를 기록했다. 블랙바스타 측의 주요 공격 국가는 미국, 일본 및 캐나다 등이며 초기 접근 단계에서 "Qakbot" 악성코드를 ..

Cisco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개요 Cisco 사는 제품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하고, 관련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할 것을 권고하였다. 이와 관련된 위험도 높음(High) 취약점에 대해 기술한다. 기술 해결방안 제조사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취약점이 해결된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적용한다. - Cisco AnyConnect Secure Mobility Client for Windows 4.10.07061 이후 버전 - Cisco Secure Client for Windows 5.0.02075 이후 버전 참고자료 https://sec.cloudapps.cisco.com/security/center/content/CiscoSecurityAdvisory/cisco-sa-ac-csc-privesc-wx..

취약점 정보 2023.07.10

2023년 06월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

1. 악성코드 통계 악성코드 Top10 2023년 6월(6월 1일 ~ 6월 30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준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표 1]은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를 탐지 건수 기준으로 정리한 악성코드 Top10이다.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는 Trojan(트로이 목마) 유형이며 총 216건이 탐지되었다. 악성코드 진단 수 전월 비교 6월에는 악성코드 유형별로 5월과 비교하였을 때 Trojan, Ransom, Worm, Backdoor 및 Suspicious의 진단 수가 증가했다. 주 단위 악성코드 진단 현황 6월 한달 동안 악성코드 진단 현황을 주 단위로 살펴보았을 때 셋째 주를 기점으로 감소에서 증가로 바뀌는 추이를 보였다. 2. 악성코드 동향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