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06

BQTLock 랜섬웨어 변종 발견 올해 7월에 새로 등장한 BQTLock 랜섬웨어의 변종이 추가로 발견됐다. 외신 보도에 따르면 해당 랜섬웨어는 친팔레스타인 해커 그룹으로 알려진 Liwaa Mohammed와 관련있으며 ZerodayX라는 공격자가 제작한 것으로 전해진다. 공격자는 자신이 운영하는 X 계정에 공격 기업 정보와 보안 업체 분석 보고서를 게시하고 이어서 BQTLock 랜섬웨어의 리눅스 버전과 유출된 자료를 검색할 수 있는 BAQIYAT.osint 도구 공개도 예고했다. BQTLock 랜섬웨어의 변종에는 안티디버깅과 정보 탈취 및 UAC 우회 기능이 추가됐으며 이 외에는 기존 버전과 동일하게 오픈 소스 기반 OpenSSL 라이브러리로 파일 암호화를 수행하고 보안 프로그램 관련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또한 Explorer.exe를.. 2025. 9. 19.
Microsoft 09월 정기 보안 업데이트 권고 개요Microsoft 사는 제품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하고, 관련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할 것을 권고하였다. 취약점 정보Critical 등급Windows Imaging Component 정보 유출 취약점CVE-2025-53799 Windows Graphics Component 권한 상승 취약점CVE-2025-53800 Microsoft Office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25-54910 Windows NTLM 권한 상승 취약점CVE-2025-54918 Windows Hyper-V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25-55224 그래픽 커널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25-55226, CVE-2025-55236 Windows 그래픽 구성 요소.. 2025. 9. 19.
2025년 08월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 1. 악성코드 통계악성코드 유형별 비율2025년 8월(8월 1일 ~ 8월 31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시큐리티대응센터는 국내외에서 수집된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유형별로 비교하였을 때 Trojan이 6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Virus가 15%로 그 뒤를 따랐다. 2. 악성코드 동향2025년 8월(8월 1일 ~ 8월 31일) 한 달간 등장한 악성코드를 조사한 결과, 북한 해커 그룹 APT37이 사용하는 RokRAT의 새로운 변종이 스테가노그래피 기법을 사용해 JPEG 이미지 파일 내에 내장된 방식으로 발견됐다. 또한, 다중 인증이 적용되지 않은 환경을 공격 대상으로 삼아 유포되는 Cephalus 랜섬웨어와 이메일 스팸 캠페인에서 활용되는 새로운 로더 QuirkyLoader가 등장했다.. 2025. 9. 4.
Github에 공개된 CyberEye RAT 빌더 최근 Github에 CyberEye RAT을 제작하는 빌더가 공개됐다. 빌더 제작자는 교육적인 목적으로 공개했으며 본 의도와 다르게 사용될 시 모든 행위 및 손해에 대해 책임지지 않는다고 공지했다. 하지만 사용자 친화적인 GUI 환경의 빌더로 보다 손쉽게 악용될 수 있으며 윈도우 디펜더 비활성화와 부트 섹터 변조 등의 시스템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기능이 존재해 자사 및 타 보안 업체에서 악성코드로 분류하고 있다. 현재 공개된 빌더 버전은 v.1.0.1이며 텔레그램 연결 테스트와 파일 생성 로그 출력 기능이 추가됐다. 빌더로 생성한 CyberEye RAT은 설정된 옵션에 따라 관리자 권한 실행, 안티 VM 및 클립보드 하이재킹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텔레그램 봇 토큰값과 ChatID를 이용해 .. 2025. 8. 29.
Cisco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개요Cisco 사는 제품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하고, 관련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할 것을 권고하였다 취약점 정보Cisco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ler vKVM의 오픈 리다이렉트 취약점CVE-2025-20317 Cisco Nexus 3000 및 9000 시리즈 스위치 IS-IS의 서비스 거부(DoS) 취약점CVE-2025-20241 Cisco UCS Manager Software의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 취약점CVE-2025-20296 Cisco UCS Manager Software의 명령어 삽입 취약점CVE-2025-20294, CVE-2025-20295 Cisco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ler .. 2025. 8. 28.
Microsoft 08월 정기 보안 업데이트 권고 개요Microsoft 사는 제품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하고, 관련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할 것을 권고하였다.취약점 정보Critical 등급Windows Hyper-V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25-48807 Azure Virtual Machines 스푸핑(spoofing) 취약점CVE-2025-49707 DirectX Graphics Kernel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25-50176 Microsoft Message Queuing (MSMQ)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25-50177 Microsoft Word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25-53733 Microsoft Office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25-53740.. 2025. 8.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