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Protect113 [악성코드 분석] Gold Dragon 악성코드 주의 Gold Dragon 악성코드 주의 1. 개요 최근, 국내에서 열렸던 2018년 평창 올림픽이 무사히 막을 내렸다. 올림픽 기간 중에도 보안과 관련된 이슈는 끊임없이 계속 발생하였지만 그 중, 흥미롭게도 해외 한 백신 업체에서 평창 올림픽을 겨냥한 것으로 추정되는 악성코드에 대한 보고서를 기재하였다.게시된 글을 확인해보면 ‘Gold Dragon’ 이라고 불려지고 있는 파일에 대하여 내용이 다루어져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번 블로그에서는 해당 악성코드에 대해 어떠한 동작을 하는지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자.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구분내용파일명[임의의 파일명].exe파일크기49,152 byte진단명Trojan/W32.Agent.49152.CRX악성동작정보 탈취 / 추가 악성코드 다운 및.. 2018. 3. 14. [월간동향] 2018년 1월 악성코드 통계 2018년 1월 악성코드 통계 악성코드 Top202018년 1월(1월 1일 ~ 1월 31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준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아래 [표]는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를 탐지 건수 기준으로 정리한 악성코드 Top20이다.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는 Backdoor (백도어) 유형이며 총 168,218건이 탐지되었다. 순위 진단명 유형 탐지 건수 1위 Backdoor/W32.Orcus.9216 Backdoor 168,218 건 2위 Worm/W32.Brontok.45374 Worm 52,962 건 3위 Trojan-Spy/W32.SpyEyes.2270504 Trojan-Spy 52,188 건 4위 Gen:Variant.Razy.107843 Viru.. 2018. 2. 19. [악성코드 분석] 코인마이너 KMSPico 10.2.2 분석 사용자의 동의 없이 가상화폐 채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악성코드 주의 1. 개요 최근 가상화폐에 대한 가치가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가상화폐 채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악성코드가 출현하고 있어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에 발견 된 가상화폐 채굴 프로그램은 사용자 동의 없이 실행되기 위해 불법 윈도우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유포하고 있다. 대게 불법 윈도우를 사용하는 이용자들은 정품인증을 받기 위하여 'KMSPico' 프로그램을 사용하는데, 특정 웹사이트에서 배포하는 'KMSPico 10.2.2.exe' 는 설치 시 ‘모네로’ 채굴 프로그램을 동작 시키고 있다. 복잡한 연산을 필요로 하는 채굴 작업은 컴퓨터에 부하를 발생시켜 작업지연이나 갑작스러운 종료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2018. 1. 18. [월간동향] 2017년 10월 악성코드 통계 2017년 10월 악성코드 통계 악성코드 Top202017년 10월(10월 1일 ~ 10월 31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준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아래 [표]는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를 탐지 건수 기준으로 정리한 악성코드 Top20이다.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는 Trojan(트로이목마) 유형이며 총 1,123,251건이 탐지되었다. 순위 진단명 유형 탐지 건수 1위 Gen:Variant.Razy.107843 Trojan 1,123,251건 2위 Gen:Variant.Zusy.217219 Trojan 127,661건 3위 Gen:Variant.Adware.Hebogo.1 Adware 27,748건 4위 Suspicious/W32.CVE-2016-3266 .. 2017. 11. 27. [악성코드 분석] MBR영역을 변조하는 ‘RedBoot Ransomware’ 감염 주의 MBR영역을 변조하는 ‘RedBoot Ransomware’ 감염 주의 1. 개요 일반적인 랜섬웨어는 사용자 PC의 파일을 암호화하고 이를 인질로 삼아 복호화를 조건으로 금전을 요구한다. 이때, 사용자의 PC는 암호화된 파일을 여는 것 외에는 정상적으로 운영체제를 사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 일반적인 랜섬웨어의 동작방식과는 다른 컴퓨터 하드디스크의 MBR 코드를 변조시켜 운영체제가 정상적으로부팅하는 것을 막는 랜섬웨어인 ‘RedBoot Ransomware’가 발견되었다. ‘RedBoot Ransomware’ 에 감염되면 파일 암호화만 진행할 뿐 아니라 정상적으로 PC를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칫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 보고서에서 MBR영역을 변조시키는 ‘RedB.. 2017. 10. 17. [월간동향] 2017년 7월 악성코드 통계 2017년 7월 악성코드 통계 악성코드 Top202017년 7월(7월 1일 ~ 7월 31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준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아래 [표]는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를 탐지 건수 기준으로 정리한 악성코드 Top20이다.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는 Worm(웜) 유형이며 총 366,204건이 탐지되었다. 순위 진단명 유형 탐지 건수 1위 Worm.Generic.24677 Worm 366,204건 2위 Backdoor/W32.Agent.986112.C Backdoor 9,994건 3위 Trojan.GenericKD.3549777 Trojan 9,716건 4위 Gen:Variant.Adware.Hebogo.1 Adware 9,643건 5위 Gen:V.. 2017. 8. 17. 이전 1 2 3 4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