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석 정보861

UnderGround 랜섬웨어, 텔레그램에 탈취 정보 공개 최근 전 세계의 제조, 의료 및 금융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를 대상으로 한 공격에 사용된 “UnderGround” 랜섬웨어가 발견됐다. “UnderGround” 랜섬웨어에 감염된 파일은 확장자가 변경되지 않아 육안으로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고 암호화할 파일을 다른 프로세스가 사용 중이면 윈도우 리스타트 매니저로 프로세스를 종료한 뒤 암호화한다. 이후, 암호화한 경로마다 랜섬노트를 생성해 사용자에게 랜섬머니를 요구하고 랜섬웨어 실행 경로에 생성한 배치 스크립트를 실행해 자기 자신과 이벤트 로그를 삭제한다. “UnderGround” 측은 아래 [그림 1]과 같이 자신들이 운영하는 정보 유출 사이트에 탈취한 데이터를 공개하고 그중 일부를 “UnderGround Team”이라는 텔레그램 채널에 게시한다. 정.. 2024. 10. 30.
텔레그램에서 판매 중인 Angry Stealer 악성코드 최근 텔레그램에서 판매 중인 정보 탈취 악성코드 "Angry Stealer"가 발견됐다. 이 악성코드는 텔레그램 채널 "ANGRY STEALER"에서 150달러에 판매되고 있으며, 해당 채널에는 수집 가능한 항목과 탈취한 결과물 그리고 제작자의 프로필 정보가 게시됐다. "Angry Stealer"를 실행하면 웹 브라우저와 암호화폐 지갑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스크린샷을 찍어 지정한 경로에 폴더를 생성한 뒤 수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국가 코드와 IP 주소를 비롯해 일정한 형식의 파일 이름으로 압축 파일을 만들어 공격자의 텔레그램으로 전송한다.   분석파일 드롭 및 실행"Angry Stealer"를 실행하면 '%temp%' 경로에 2개의 파일을 드롭한다. 이 중 "Stepasha.exe"가 정보 탈.. 2024. 9. 30.
Teams 설치 파일로 위장한 Oyster 백도어 최근 마이크로소프트의 Teams 설치 프로그램으로 위장해 유포되는 “Oyster” 백도어가 발견됐다. 공격자는 파일 아이콘과 파일 이름을 정상 설치 파일인 척 위장해 사용자의 다운로드와 실행을 유도한다. 그 후, 사용자가 실행한 해당 악성코드는 “Oyster” 백도어와 정상 파일을 드롭하고 실행하며 설치 과정을 보여줌과 동시에 감염된 PC 정보 수집과 공격자의 C&C 서버 통신 등의 악성 동작을 수행한다. Oyster 드롭퍼마이크로소프트의 Teams 설치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를 실행하면 '%temp%' 경로에 2개의 파일을 드롭한다. 드롭한 파일 중 "CleanUp30.dll"은 "rundll32.exe”로 "Test" 함수를 호출해 실질적인 백도어 동작을 수행하며, "MSTeamsSetup_c_.. 2024. 9. 24.
Inc 랜섬웨어, 2024년 2분기 유출 사례 증가 2024년 상반기에 “Inc” 랜섬웨어 공격으로 데이터가 유출된 사례가 꾸준히 확인되고 있다. 자사에서 직접 확인한 결과 지난 1분기에는 총 24건의 사례가 있었고, 2분기에는 총 63건을 기록하며 1분기 대비 39건이 증가했다. 또한, 자사에서 게시한 5월 데이터 유출 통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으며, 6월에는 18건의 데이터 유출 사례를 기록하면서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아래의 링크는 자사 블로그에 게시된 2024년 6월 랜섬웨어 동향 보고서이다.2024.07.04 - 2024년 06월 랜섬웨어 동향 보고서  “Inc” 랜섬웨어는 감염 대상을 지정하는 등의 옵션을 제공하며, 암호화를 완료한 파일에 “.INC” 확장자를 추가한다. 옵션을 사용하지 않으면 활성화된 드라이브를 대상으로 감염하고.. 2024. 8. 2.
구글 플레이 업데이트로 위장한 Antidot 최근 구글 플레이 업데이트로 위장해 유포되는 악성 안드로이드 앱 “Antidot”이 발견됐다. 해당 앱을 실행하면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 옵션의 활성화를 요청하고, 구글 플레이 업데이트로 위장한 추가 앱의 설치를 유도한다. 추가로 설치된 앱은 VNC(Virtual Network Computing)를 직접 구현해 감염된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며, 오버레이 기술을 이용해 정보를 수집하고 공격자가 운영하는 C&C 서버로 정보를 전송한다. “Antidot”을 처음 실행하면 [그림 1]과 같이 구글 플레이 업데이트의 설치가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띄우고,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 옵션의 활성화를 요청한다. 사용자가 해당 옵션을 활성화하면 구글 플레이 업데이트로 위장한 추가 앱의 설치가 진행된다.  .. 2024. 7. 25.
취약한 드라이버를 악용하는 GhostEngine 최근 “GhostEngine” 악성코드를 유포해 EDR(Endpoint Detection and Response)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코인 마이너를 실행해 암호화폐를 채굴하는 캠페인이 발견됐다. 해당 캠페인은 취약한 윈도우 드라이버를 악용해 감염된 호스트에서 EDR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종료된 프로세스의 실행 파일을 삭제한다. 이후, 공격자가 운영하는 C&C 서버에서 “XMRig” 코인 마이너를 다운로드 및 실행한다. EXE 형식의 다운로더 “Tiworker.exe”와 “GhostEngine” 악성코드의 동작 흐름도는 [그림 1]과 같다. 먼저, “Tiworker.exe”는 파워쉘 스크립트인 “get.png”를 다운로드 및 실행하며, 스크립트는 각 모듈과 윈도우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한다. 다운로드된 모듈 중.. 2024. 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