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코드 분석119 [악성코드 분석] 웜(Worm) 악성코드 Allaple 상세 분석 웜(Worm) 악성코드 Allaple 상세 분석 1. 개요 컴퓨터에서 웜(worm)의 정의는 ‘자신을 복제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웜은 네트워크상에서 전파되며 바이러스(Virus)보다 일반적으로 전파속도가 빠르고 과도한 트래픽을 유발하여 대역폭을 잠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파일에 기생하여 실행되는 바이러스와 달리 웜은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C&C(Command & Control) 서버의 명령 없이 무조건 특정 IP에 DoS(Denial of Service) 공격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반한 웜 형태 악성코드인 ‘Allaple’(또는 Starman)을 분석하여 웜이 어떤 방식으로 증식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구분내용파일명allaple.exe파일크기.. 2017. 2. 1. [악성코드 분석] 피해자를 가해자로, PopcornTime 랜섬웨어 피해자를 가해자로, PopcornTime 랜섬웨어 분석 1. 개요 랜섬웨어는 시스템을 잠그거나 데이터를 암호화해 사용할 수 없도록 하고 이를 인질로 사용자에게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 프로그램을 말한다. 대부분의 랜섬웨어는 사용자의 파일을 암호화한 뒤 비트코인을 보내면 복호화를 해준다며 금전을 요구하는데 최근 복호화 방법으로 비트코인 지불 외에 다른 방법을 거론하는 ‘PopcornTime’ 랜섬웨어가 발견되었다. PopcornTime 랜섬웨어는 파일을 복호화 하기 위해 타 랜섬웨어와 같이 비트코인을 요구하지만 또 다른 복호화 방법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그 방법은 랜섬웨어 피해자가 랜섬웨어를 유포하게 만드는 것이다. 랜섬웨어 감염자에게 무료 복호화 방안으로 본인을 제외한 다른 이 2명을 감염시키고 비트코인을.. 2017. 1. 25. [악성코드 분석] 파일 바이러스 Bloored 분석 파일 바이러스 Bloored 1. 개요 대부분 사용자들이 일반적으로 악성코드하면 ‘바이러스(Virus)’를 떠오르기 마련이다. 바이러스는 사전적으로 ‘프로그램을 통해 감염되는 악성 소프트웨어’를 말하는데 보통 바이러스 감염 후에 공격자에게 실질적인 이득을 주는 기능이나, 기능 확장을 위한 추가 모듈 다운로드 및 실행 기능을 포함한다. 본 보고서에서 다루게 될 악성코드 Bloored는 앞서 설명한 바이러스 형태의 악성코드이며, 구조가 다른 바이러스들에 비해 비교적 단순하다. 본 보고서를 통해 바이러스가 다른 파일을 감염하는 방식과 공격자가 이를 이용해 불법적으로 이득을 취하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구분내용파일명Bloored.exe파일크기259,072 byte진단명Wor.. 2016. 12. 20. [악성코드 분석] 샌프란시스코 지하철 해킹에 사용된 Mamba 랜섬웨어 샌프란시스코 지하철 해킹에 사용된 Mamba 랜섬웨어 1. 개요 지난 11월 샌프란시스코 철도 시스템(일명 Muni)의 2,112 대 컴퓨터가 랜섬웨어에 감염되었다. 이로 인해 해당 역의 결제 시스템과 스케줄링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으며, 결국 전철을 임시로 무료 개방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번 사태에 이용된 랜섬웨어는 바로 Mamba(또는 HDDCryptor) 랜섬웨어다. 해당 랜섬웨어는 파일을 암호화하는 것이 아니라 하드 디스크를 암호화하기 때문에 부팅 시 지정된 암호를 입력해야만 PC 를 부팅할 수 있게 된다. 이번 분석보고서에서는 Mamba 랜섬웨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구분내용파일명mamba.exe (임의의 파일명)파일크기2,415,104 byte진단.. 2016. 12. 16. [악성코드 분석] 악성코드 접근을 숨겨주는 포트 루트킷 분석 악성코드 접근을 숨겨주는 포트 루트킷 1. 개요 루트킷(Rootkit)의 의미는 본래 Unix 계열의 관리자 계정인 루트(Root) 권한을 획득하기 위한 코드와 프로그램의 집합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최근에 루트킷이 단순히 특정 악성코드가 시스템에서 탐지되지 않도록 악용되면서 이제 개인 PC에서 루트킷의 역할은 악성코드 은닉이 주가 되었다. 본 보고서에서는 악성코드가 통신하는 포트 또는 통신 대상의 IP를 기준으로 연결 정보를 숨겨주는 루트킷을 분석하여 포트 루트킷이 동작 방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2. 분석 정보 2-1. 파일 정보구분내용파일명SynDrives.sys파일크기3,840 byte진단명Trojan/W32.KRDDoS.3840악성동작포트 루트킷 2-2. 유포 경로SynDrives.sys는 이전에.. 2016. 11. 28. [월간동향] 2016년 10월 악성코드 통계 2016년 10월 악성코드 통계 악성코드 Top202016년 10월(10월 1일 ~ 10월 31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준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아래 [표]는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를 탐지 건수 기준으로 정리한 악성코드 Top20이다.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는 Adware(애드웨어) 유형이며 총 51,881건이 탐지되었다. 순위 진단명 유형 탐지 건수 1위 Adware/SmartAddress.A Adware 51881건 2위 Trojan/XF.XF.Sic Trojan 4739건 3위 Trojan.GenericKD.3478486 Trojan 3114건 4위 Trojan/W32.Agent.4608.TK Trojan 3104건 5위 Virus/W32.Alm.. 2016. 11. 18.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