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nsomware125 STOP 랜섬웨어 암호화 차단 백신 독일의 한 보안회사, G DATA에서 STOP 랜섬웨어의 암호화 동작을 방지하는 백신을 출시하였다. 해당 백신은 STOP 랜섬웨어의 악성동작 자체를 막지는 못하지만, 파일의 암호화 동작을 차단할 수 있다고 전해진다. STOP 랜섬웨어의 암호 해독 소프트웨어는 지난 2019년 10월에 출시된 바가 있다. 하지만 그 이후로 다양한 변종이 등장하였기 때문에 최신 변종에 대해서는 G DATA의 백신을 통해 추가적인 암호화 동작을 막는 것이 최선의 방법으로 알려진다. 사진 출처: BleepingComputer 출처 [1] Bleepingcomputer (2021.12.08) - STOP Ransomware vaccine released to block encryption https://www.bleepingcom.. 2021. 12. 8. 새로운 모습으로 나타난 Cerber 랜섬웨어 최근 Gitlab과 Atlassian Confluence를 대상으로 Cerber랜섬웨어가 다시 등장하였다. Cerber랜섬웨어는 2016년에 처음 나타나 2019년까지 지속적으로 모습을 드러내다 서서히 사라졌다. Cerber랜섬웨어 변종은 과거와 달리 더욱 강력해진 모습으로 돌아왔다. Windows를 포함하여 Linux 시스템까지 공격 대상을 확대하고 Gitlab과 Atlassian Confluence의 원격코드 실행 취약점을 악용하여 서버에 접근하고, 악성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된 취약점은 CVE-2021-26084과 CVE-2021-22205이다. 사진 출처: BleepingComputer 출처 [1] Bleepingcomputer (2021.12.08) - New Cerber ransomwar.. 2021. 12. 8. Cuba 랜섬웨어에 대한 FBI의 경고 지난 11월 Cuba 랜섬웨어의 배후 그룹은 정보 및 의료, 금융 등의 기관을 공격하였다. 이로 인해 적어도 49개가 넘는 기관이 피해를 입었고, 이에 대하여 미국 연방수사국(FBI)은 관련된 세부 정보를 발표하였다. Cuba 랜섬웨어는 2019년 최초로 등장하였으며, 현재까지 4,390만 달러가 넘는 이익을 창출한 것으로 알려진다. 해당 랜섬웨어는 주로 피싱 메일, MS Exchange 서버의 취약점, RDP 도구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네트워크에 접근하고, 그 후 파일 암호화 등의 공격을 수행한다. 사진 출처: FBI 출처 [1] Securityweek (2021.12.08) - FBI Warns of Cuba Ransomware Attacks on Critical Infrastructure http.. 2021. 12. 8. 랜섬웨어 공격으로 중단된 DMEA 지난 11월에 Delta-Montrose Electric Association(DMEA)는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일부 시스템이 중단되었다. DMEA는 콜로라도주 몬트로즈에 지역 전기 협동 조합으로 Touchstone Energy 연맹에 속하고 있다. 해당 공격으로 DMEA의 내부 네트워크 기능은 90%가량 손상되었으며 전화, 이메일, 청구 및 고객 계정 시스템이 중단되었다고 전해진다. 아직까지 어떠한 랜섬웨어의 공격인지 밝혀진 바는 없으며, 아래의 그림과 같이 DMEA의 사이트에서 관련 정보를 전달하며 12월 6일에서 10일 사이에 업무를 재개할 것이라 알렸다. 사진 출처: DMEA 출처 [1] Microsoft (2021.12.07) - Protecting people from recent cybera.. 2021. 12. 7. 2021년 11월 랜섬웨어 동향 보고서 1. 랜섬웨어 통계 랜섬웨어 데이터 유출 통계 랜섬웨어 조직이 탈취한 것으로 주장하는 데이터가 게시된, 데이터 유출 사이트 23곳의 정보를 취합한 결과이다. 2021년 11월(11월 1일 ~ 11월 30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현황을 랜섬웨어 진단명 별로 비교하였을 때 "LockBit" 랜섬웨어가 78건으로 가장 많은 데이터 유출이 있었고, "Conti" 랜섬웨어가 77건으로 두번째로 많이 발생했다. 2021년 11월(11월 1일 ~ 11월 30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국가별로 비교하였을 때 미국이 4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독일이 6%, 프랑스와 이탈리아가 5%로 그 뒤를 따랐다. 2021년 11월(11월 1일 ~ 11월 30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산업별로 비교하였을 때 제.. 2021. 12. 1. Midas 랜섬웨어 데이터 유출 사이트 등장 2021년 11월경, 새롭게 등장한 Midas 랜섬웨어의 데이터 유출 사이트가 등장했다.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면 "규칙", "랜섬웨어 정보", "Midas 랜섬웨어 그룹에 대한 정보"가 작성돼 있다. 게시된 글에 따르면 자신들은 어떠한 정부단체에도 속해 있지 않으며 정치적 목표를 추구하지 않고, 단지 이윤만을 위해 데이터를 탈취한다고 한다. 사이트에 게시된 데이터는 현재까지 총 26건으로 다양한 국가와 산업군의 데이터를 탈취한 것으로 보인다. [사진 출처: 다크웹] 2021. 11. 30.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