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보안 동향 455

[안내]국산 유해가능 제휴프로그램 난립실태와 근절대책의 핵심

1. 부적절한 인터넷 광고, 불편한 진실과 현실 다년 간 무수히 많은 인터넷 이용자들에게 호기심 유발이나 인기검색 키워드 등으로 현혹하여 배포과정 상에 문제를 가지고 있고, 유해가능한 광고성 프로그램(Adware)을 무단 배포하는 수법이 나날이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직도 수 많은 인터넷 이용자들이 잠재적으로 원하지 않는 프로그램(PUP:Potentially Unwanted Program)에 순간의 부주의로 반강제 노출되어 많은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고, 피해도 꾸준히 속출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근본적인 대안과 철저한 근절대책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보안업체들이 Adware 종류를 악성으로 분류하고 치료기능을 제공하고 있지만, 금전적 수익을 높이기 위한 광고업체들은 육안상으로..

[정보]지하철 요금 우회가 가능한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보고

1. 개 요 최근 해외 보안 업체를 통해 지하철 요금 지불과 관련하여 결제카드의 리셋 기능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가 공개된 바 있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NFC 기능을 통해 결제카드에 대한 리셋 기능을 수행하며, 실제로 해외 지하철역에서 선불요금이 만료된 결제 카드에 대한 리셋 시연을 보이는 영상까지 공개되어 있다. 물론 국내에서 정상적인 동작을 기대하기는 어렵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악성이 아닌 POC(개념증명)를 위해 준비되었다는 점에서 약간의 거리는 있겠지만 날로 확산되어 가고있는 안드로이드 보안 위협에 대한 사용자들의 인식 전환을 위해서는 한번쯤 짚고 넘어가 볼 수 있는 문제일 수 있다. ※ 실제 시연 동영상 ☞ http://vimeo.com/49664045 ※ NFC[Near Fiel..

[주의]독도 관련 한글 문서 파일로 위장한 악성파일 유포 주의!

1. 개 요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최근 APT 공격과 관련한 모니터링중에 독도 영유권 분쟁과 관련한 내용으로 꾸며진 한글 문서 파일을 악용하여 특정 기업을 대상으로 APT 공격이 발생한 정황을 포착하였다. 최근 국내외적으로 이슈가 되고있는 독도 관련 문건으로 호기심을 자극하는 전형적인 사회공학적 기법의 공격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감염될 경우 키로거 기능 등을 수행하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기업들을 대상으로 하는 APT 공격 과정의 초기 분석 단계로 볼 수 있다. [정보]한글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파일 유포 주의! ☞ http://erteam.nprotect.com/314 [긴급]HWP 문서 0-Day 취약점 이용한 APT 공격발생 ☞ http://erteam.nprotect.com/297 [주의]악성 HWP ..

[정보]2012 런던 올림픽 경기 일정표로 위장한 악성파일 주의!

1. 개 요 2012 런던 올림픽 대회가 개최되며, 전세계의 이목이 올림픽에 집중되고 있다. 전세계 각국을 대표하는 선수들이 참가하여 열전을 벌이고 관심을 높여가고 있는 가운데 역시나 올림픽 관련 스케쥴표로 위장한 악성파일이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해당 악성파일은 PDF 형식의 파일로 폰트 관련 취약점을 악용하여 악성파일을 유포하고 있으며, 감염 시 정상적인 올림픽 스케쥴표가 출력되어 일반 사용자들의 경우 감염 사실을 인지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2. 유포 경로 및 감염 증상 해당 악성파일은 2012 런던 올림픽 경기 일정표로 위장되어 이메일의 첨부파일 혹은 SNS, 메신저 등의 링크 접속을 통해 유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폰트 관련 PDF 취약..

[대비]DNS Changer 감염시 07월 09일 이후 인터넷 전면 중단사태

1. 개요 일명 "DNS Changer" 라는 이름을 가진 악성파일은 약 2007년 경부터 가짜 비디오 코덱처럼 위장하여 유포되었고, 전 세계에 약 420만대 이상의 컴퓨터를 감염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악성파일에 감염되면 사용자의 1/2차 DNS(Domain Name System) 서비스를 임의로 변경하여, 감염된 사용자가 특정 웹 사이트로 접속을 시도할 때 악성파일 제작자들에 의해서 조작된 상업사이트로 강제 연결시키거나, 허위 보안제품(Fake Anti-Virus) 설치 유도, 개인정보 탈취 등을 통해서 수십에서 수백억원에 상당하는 불법 수익금을 부당하게 편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미국 연방수사국(FBI)은 피의자 에스토니아 IT기업 Rove Digital 을 특정하였고, 그들을 검거하기..

[이슈]시간차를 이용한 스토킹 형태의 대만 APT 공격

1. 개요잉카인터넷 대응팀은 대만의 행정원위생서(行政院衛生署)의 특정인을 표적으로 삼아 끈질기게 APT 반복공격을 시도하는 일부 정황을 포착하였다. 행정원위생서는 우리나라의 보건복지부와 역할이 비슷한 국가 행정조직으로 보건위생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표적형 이메일 공격이 지속성을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번과 같이 특정인을 대상으로 짧은 기간에 매우 반복적이면서 시간차를 두고 다양한 형태로 공격 시도를 하는 형태가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추정하기로 공격자는 자신이 원한 표적이 악성파일 감염에 쉽게 노출이 되지 않자 연쇄적으로 무한반복 공격을 감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흔치 않지만 표적 대상자가 이러한 보안 위협의 이상한 낌새를 사전에 눈치채고 이메일 첨부파일을 이용한 공격에 쉽게 노출..

[정보]나도 모르게 설치된 그것이 알고 싶다.

1. 개요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컴퓨터에 자신도 모르게 설치되는 이른바 광고 목적의 프로그램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되는지 실제 사례를 통해서 그 전 과정을 공개해 보고자 한다. 인터넷 광고 기능 자체는 법적으로 정당한 행위에 속하지만, 악성 프로그램의 분류 중에는 Adware(Advertise+Software)라는 형태가 존재한다. 이는 비정상적인 절차를 통해서 유포되는 광고성 파일이거나 다른 프로그램처럼 위장하여 사용자를 속인 후 설치되는 경우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이용자에게 심각한 불편을 초래하는 형태(인터넷 시작페이지 고정, 팝업 광고, 제휴 프로그램 설치)나 개인정보를 수집하여 외부에 유출을 시도하는 종류 등이 악성 광고 프로그램으로 분류될 수 있게 된다. 2..

[소식]미국 Metascan online 솔루션에 nProtect 공식 탑재

1. 개요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내 보안 분야에서는 처음으로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한 OPSWAT사의 멀티 엔진 스캔 솔루션에 nProtect Anti-Virus 서비스 탑재를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 해당 솔루션의 서비스명은 메타스캔 온라인(Metascan online)이며, 현재 글로벌 메이저급 Anti-Virus 제품들이 등록되어 있는 상태이다. 양사는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과 함께 주문자 상표 부착생산(OEM) 판매 등에 대한 계약도 공식적으로 마무리한 상태이다. 이는 미국 현지의 주요 기업체 및 공공기관에 nProtec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 것이며, 제품의 품질과 안정성 검증 절차도 통과하였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지능형 지속위협(APT)과 더불어 대형 인터넷..

[이슈]국내 겨냥 최신 APT 공격자 밀착추적 및 집중해부

1. 개요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내외 특정기관 및 기업들을 대상으로 하는 일명 지능형 지속 위협(APT:Advanced Persistent Threat)이라 부르는 표적형 공격 기법을 집중적으로 추적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과정에서 2012년 03월 02일 국내에서 발생하였지만 아직 공식적으로 공개된 바 없는 실제 공격 사례의 정황을 다수 포착하였고, 근거자료를 기반으로 해당 수법을 장시간 다각적으로 면밀하게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에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공격자 입장의 관찰자 관점에서 어떻게 공격이 진행되었는지 업계 최초로 수집된 자료를 공개하고, 표적기반의 정교하고 은밀한 형태의 공격방식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해서 어떠한 보안전략이 요구되고, 대응과제가 수립되어야 하는지 실제상황을 비교하여 제시해 보고..

[정보]국내 유명 기업 표적 공격(APT)형 수법 공개

1. 개요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내 유명 인터넷 기업을 대상으로 2011년 경에 진행되었던 실제 표적 공격 기법을 확보하였으며, 이른바 지능형 지속 위협(APT:Advanced Persistent Threat)의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겠다. 이에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다수의 기업 사용자들이 이러한 보안 위협에 속수무책으로 피해를 입지 않도록 유사 방식에 대한 경각심 고취 및 사전 대비를 위한 정보 제공 차원으로 공격 수법을 일부 공개"하게 되었다. 중요 기관이나 특정 기업 등을 대상으로 하는 지능형 지속 위협은 1차 표적에 노출된 소수의 내부 직원을 매개체로 만든 후 공격자로 하여금 회사 내부의 주요 기반시설 및 2차 네트워크 통로로 접근할 수 있는 직접적인 연결 고리로 작용하게 만들며, 순차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