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보안 동향 455

[주의]신용카드 허위 정지 내용으로 전파 중인 악성 이메일

1. 개 요 최근 신용카드 중단 내용으로 위장한 악성 이메일이 다양한 형태로 국내에 전파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해당 악성 이메일은 해외에서 제작된 것이지만 국내에도 이메일을 통해서 다수 유입된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이메일의 조작된 내용이 "신용 카드 사용 정지 안내 메일" 등으로 위장되어 있어 일반 신용카드 사용자의 경우 별다른 의심없이 이메일 열람 및 첨부파일 다운로드로 악성파일에 감염될 가능성이 있다. 2. 감염 경로 이러한 악성 이메일은 인터넷 사용중 개인 이메일 계정 정보 유출 등으로 인해 수신될 수 있으며, 내부의 첨부파일 형태로 포함되어 있는 실제 악성파일은 이메일 외에도 SNS, 인스턴스 메신저 등의 링크 접속 등으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아래의 그림은 실제로 수신된 관..

[주의]알약 제품으로 위장하여 유포되는 악성파일

1. 개 요 국내 보안업체 제품을 위장하고 있으며 제휴사 광고 목적으로 제작되어진 악성 프로그램이 국내 포털 사이트 등이 운영하는 블로그 및 카페 등의 게시글을 통하여 유포되어지는 사례가 다수 확인되어 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는 인터넷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와 관심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2. 감염 방식 및 증상 현재 이와같은 악성 프로그램 설치 방식은 국내의 특정 포털 사이트 등에서 운영하는 카페 및 블로그에 게시되어진 덧글의 단축 URL 접근을 통하여 설치가 가능 하도록 되어져 있다. 이러한 악성파일 설치방식은 소수가 아닌 불특정 다수의 접근이 용이한 포털 사이트 등과 같은 블로그, 카페 등을 이용하였다는 점에서 앞으로 지속적이고 다양한 유포 방식의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어 진다. 특히, 이번에..

[주의]이메일 형태로 위장한 악성파일 유포 기승

1. 개 요 최근 정상적인 이메일로 위장해 악성파일을 유포하는 형태의 기법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일반 사용자들은 평소 다양한 광고 형태의 이메일을 자주 받는다. 때문에 별다른 의심 없이 이러한 이메일의 열람 및 첨부 파일에 대한 다운로드 및 실행을 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세계적인 물류 배송 업체 DHL에서 보낸 이메일로 위장한 형태의 사례를 살펴보고 이러한 보안 위협에 미리 대비할 수 있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자. 2. 감염 경로 및 증상 위와 같은 악성파일 유포 기법은 제목과 같이 말 그대로 정상적인 이메일로 자신을 위장해 첨부 파일 형태로 된 악성파일을 사용자로 하여금 다운로드 및 실행할 수 있게 유도한다. 이러한 악성파일 유포 기법은 대표적으로 아래의 그림과 같이..

[주의]국내 인터넷 뱅킹 사용자를 노리는 악성파일 공식 발견

1. 개 요 해외 유수의 인터넷 뱅킹 사이트를 공격 타겟으로 삼고 있는 일명 "제우스(Zeus)" 소스 코드의 무분별한 확산과 더불어 최근 국내 유명 금융권 해킹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그 어느 때보다 금융 서비스 보안 강화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금융 서비스의 각종 보안 위협과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는 시점에서 국내 유수의 인터넷 뱅킹 웹사이트 사용자들을 타겟으로한 전문화된 악성파일이 발견되어 국내에서도 금융거래 타겟 공격형 예금 유출 사고 발생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으며, 앞으로 점차 지능화된 변형 공격의 등장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이번에 발견 되어진 악성 파일은 국내 인터넷 뱅킹 사용자들을 중점 겨냥하여 전문적으로 제작된 첫 번째 공식 사례로 꼽을 수 있으며..

v3lite 파일명으로 위장한 온라인 게임 계정 정보 유출 악성파일 발견, 주의 필요

1. 개 요 최근 온라인 게임 계정 정보 탈취를 목적으로 하는 악성파일이 국내에 다량 유포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중 정상파일인 "lpk.dll" 파일명을 사용하는 악성파일의 변종 유포가 매우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초 감염을 유발하는 숙주파일의 파일명으로 국내 유명 백신 업체의 파일명을 도용하는 악성파일이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위와 같은 경우 일반 사용자들은 감염 사실을 파악하기가 매우 어려워 지속적인 감염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온라인 게임 계정 정보 탈취를 목적으로 하는 악성파일은 다수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금전적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만큼 이번 글을 통해 이와 같은 유형의 악성파일에 대해 살펴보고 혹시 있을지 모를 피해에 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하자. ..

오사마 빈 라덴 사망을 이용한 페이스북 악성 어플리케이션 및 악성파일 유포 주의

최근 미국에 대한 9.11 테러의 배후로 알려진 국제적 테러 조직 알 카에다를 이끌고 있는 오사마 빈 라덴이 사망하여 세계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인 이슈에 발 맞춰(?) 사회공학 기법을 이용하는 Scam 형태의 페이스북용 악성 어플리케이션이 유포되고 있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번 글을 통해 해당 페이스북용 악성 어플리케이션을 살펴보고 미리 대비할 수 있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자. 해당 악성 어플리케이션은 특정 어플리케이션 광고 목적을 가지고 유포 중에 있으며, 이를 위해 오사마 빈 라덴의 사망 관련 소식을 악용해 사회공학 기법을 채용하는 형태로 아래의 그림처럼 특정 페이지를 통한 유포 방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감염되면 친구로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들의 담벼락에 관련 글을 ..

한글 이력서 내용으로 위장되어 유포 되어지는 악성 이메일 주의

1. 개 요 한글 이력서 내용으로 위장되어 유포 되어지는 악성 이메일이 최근 발견 되었다. 해당 이메일 내에는 실행 가능한 악성파일이 첨부되어진 상태이며 이를 실행시 추가적인 감염 행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와같이 발신처가 불분명한 이메일에 대해서는 열람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 감염 경로 및 증상 해당 이메일을 살펴보면 정상적인 이력서 내용을 포함한 메일처럼 위장 되어져 있으며, 개인정보 프로필과 같은 첨부파일이 내부에 포함 되어져 이를 열람하여 볼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Resume.rar(98,006 바이트)" 첨부파일 내부에는 "Resume.chm(101,511 바이트) " 파일이 포함 되어져 있으며, "Resume.chm" 파일을 실행 할 경우 내부에 포함되어진 svchost...

imm32.dll 패치 악성파일의 진화는 어디까지....? <두번째 이야기>

1. 개 요 imm32.dll 패치형 악성파일과 관련하여 앞서 소개한 바 있다. 그러나 최근 imm32.dll 패치 외 악성 svchost.exe 파일을 추가로 생성하여 동작하는 악성파일이 확인 되었다. 해당 악성파일은 사용자 계정정보 유출을 통한 2차 피해를 유발시킬수 있으므로 인터넷 사용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2. 감염 방식 및 감염 증상 이번에 발견되어진 악성파일은 정상 imm32.dll 패치 외에 윈도우 시스템 폴더에 악성 svchost.exe 파일을 추가로 생성하여 동작하는 등 새로운 방식의 감염 형태로 확인 되었다. 또한, 국내 특정 온라인 게임 및 메신저, Internet Explorer 파일에 인젝션되어 사용자 로그인시 로그인 정보를 후킹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시도를 하게 된다..

페이스북(Facebook) 담벼락 자동 게시 앱(Application) 설치 주의

요즘과 같은 스마트화 시대에 통신 수단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은 별로 없을 것이다. 또한,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최근 대세인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한가지 이상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을 찾기도 쉽지 않을 것이다. SNS는 여러 사람들 간의 정보 공유와 소통 등 실시간으로 즐길 수 있는 컨텐츠를 우리에게 제공하며, 어찌 보면 뉴스 이상의 정보를 훨씬 빠르게 접할 수 있는 하나의 정보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SNS를 통해 설치되는 앱 중 정보 공유의 용이함을 이용해 해당 앱 설치 시 사용자에게 몇 가지 권한에 대한 "허가 요청"을 하고, 그 권한을 이용해 사용자의 동의 없이 게시물 등록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앱이 늘고 있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

웹 브라우저 취약점을 이용하여 유포되어지는 악성파일 주의

1. 개 요 특정 웹 브라우저 보안 취약점을 이용하여 유포 되어지는 악성파일이 최근 확인 되었다. 해당 악성 파일은 인스턴스 메신저에 포함 되어진 URL 주소 링크를 클릭할 경우 감염이 발생하게 되며, 사용자 정보 유출등과 같은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인터넷 사용자 개개인의 주의와 예방의식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참고 : 메신저 쪽지 등으로 유포되는 악성코드 주의] http://www.nprotect.com/v7/nsc/sub.html?mode=report_view&subpage=3&no=56&page= [참고 : 네이트온 쪽지로 유포 중인 악성코드 그림 파일] http://viruslab.tistory.com/1788 [참고 : 웹 취약점을 겨냥하고 네이트온 쪽지로 전파된 악성 파일 주의..